|
제 21회 학술세미나 (2011. 12. 9) |
|
한국인을 위한 영어교수법, 그리고 중국어 교육 (My English teaching experience in Korea as a lens to view Chinese education in Korea) - Brian Simon(강원대학교 어학교육원) |
|
제 20회 학술세미나 (2011. 7. 29) |
|
基础教育改革在中国—以新基础教育为例(중국의 기초교육개혁) - 이정도 (李政涛, 화동사범대학 교육학과) |
|
제 19회 학술세미나 (2011. 6. 17) |
|
韩剧在亚洲的经济文化效应及其反弹 (한국 드라마가 아시아의 경제 문화에 미치는 영향) - 의약분(衣若芬, 싱가포르 남양이공대학) |
|
제 18회 학술세미나 (2011. 4. 18) |
|
≪风波不定人自定≫-苏轼的儒释哲学观(≪風波不定人自定≫-중국 사상가 소식(蘇軾)의 유교적 관점으로 해석한 철학관) - 곽강용(郭讲用, 중국 화동정법대학) |
|
제 17회 학술세미나 (2010. 11. 19) |
|
有关“重要”和“主要”的辨析(중국어 단어 분석 : 중요[重要]와 주요[主要]) - 왕려하(王丽霞, 공자아카데미) |
|
제 16회 학술세미나 (2010. 10. 29) |
|
对韩成人汉语教学体会 (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육에 대한 이해) - 이정화(李靖华, 공자아카데미) |
|
제 15회 학술세미나 (2010. 10. 1) |
|
汉语教学与文化陶冶 (중국 문화를 통해 본 중국어교육) - 이의(李宜, 공자아카데미) |
|
제 14회 학술세미나 (2010. 9. 17) |
|
关于动词重叠的讨论 (중국어 동사중첩에 관한 토론) - 리보(李波, 북화대학) |
|
제 13회 학술세미나 (2010. 8. 2) |
|
浅谈对外汉语教学中的重音教学(대외 중국어 교육 중 악센트 교육에 대한 논의) -박인순(朴仁順, 북화대학) |
|
제 12회 학술세미나 (2010. 7. 2) |
|
中小学汉语教学异同 (초·중·고 중국어 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) - 필 강(毕康, 공자아카데미) |
|
제 11회 학술세미나 (2010. 6. 4) |
|
新HSK6級考试题型分析与应试巧 - 왕효욱(王曉旭,공자아카데미) |
|
제 10회 학술세미나 (2010. 4. 16) |
|
初级汉语教育方法与技巧 - 초려염(肖丽艳, 공자아카데미) |
|
제 9회 학술세미나 (2009. 10. 30) |
|
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육 - 필강(?康,공자아카데미) |
|
제 8회 학술세미나 (2009. 9. 30) |
|
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방안(타 외국어교수법과의 상호 비교) - 한길 (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) |
|
제 7회 학술세미나 ( 2009. 8. 26) |
|
한국인을 위한 프랑스어 교육(타 외국어교수법과의 상호 비교) - Philippe Coulon (강원대학교 불문과) |
|
제 6회 학술세미나 (2009. 6. 26) |
|
영어 교육의 역사와 방법론을 통해 보는 중국어 교육 - 박혜순 (고려대학교) |
|
제 5회 학술세미나 (2009. 5. 29) |
|
韩国留学生动词使用偏误分析 - 박인순 (서원대학교) |
|
제 4회 학술세미나 (2009. 4. 17) |
|
HSK的学习与辅导 (HSK的學習與輔導) - 高新(중국 산동대학교 대외중국어과) |
|
제 3회 학술세미나 |
|
|
|
제 2회 학술세미나 (2009. 2. 13) |
|
「新漢文化圈」的新加坡經驗 - 의약분(衣若芬, 싱가포르 남양이공대학교) |
|
제 1회 학술세미나 (2009. 1. 30) |
|
對外漢語敎學技巧漫談 - 문연(文娟,上海 璜師大) |
|